회사소개
교 육
컨설팅
주요사업실적
공지 및 자료
갤러리
고객문의
제목  제로에너지 건축물 인증제 20일 시행 2017-01-26 14:58:55
작성인
  미래농업문화연구소 전화번호 : 비공개   이메일 :    트위터로 보내기싸이월드 공감
조회 : 908   추천: 0
토교통부는 신(新)기후체제 출범에 따라 건물 부분의 에너지절약 및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에 앞장서기 위해 제로에너지건축물 인증제(제로인증제)를 20일부터 시행한다고 밝혔다.

제로인증제는 건축물의 에너지성능을 정량적으로 평가해 제로에너지 실현 정도에 따라 5개 등급으로 구분하여 인증하는 제도이다.

건축물 에너지효율 1++등급 이상의 에너지성능 수준을 만족하는 건축물을 대상으로 에너지자립률 및 건물에너지관리시스템 설치 여부에 따라 평가된다.
 

에너지자립률이란 건축물에서 소비하는 에너지량 대비 생산하는 에너지량의 비율로서 에너지자립률 20% 이상인 경우 제로에너지건축물 5등급을 시작으로 100% 이상인 완전 자립인 경우 최고 등급인 1등급을 부여받게 된다.

또한, 제로에너지건축물은 준공 후 지속적인 에너지성능 관리를 위해 건축물에너지관리시스템(BEMS) 또는 원격검침전자식 계량기를 설치해야 한다.

국토부는 제로인증제 시행에 앞서 관련 기술개발 및 경제성 확보를 위해 2014년부터 유형별 제로에너지건축물 시범사업(저층형·고층형·단지형)을 통해 제로에너지건축 선도모델을 개발하고 있다. 

이와 함께 국토부는 제로에너지건축에 대한 민간 참여를 촉진하기 위해 건축기준 완화(용적률·건물 높이 15% 완화, 기부채납률 완화),

금융지원(주택도시기금 대출한도 확대, 에너지신산업 장기 저리 융자) 및 보조금 지원(신·재생에너지설비 설치 보조금 우선 지원) 등 다양한 혜택도 마련했다.
 

정부는 2030년까지 신축 건축물의 70%를 제로에너지화함으로써 1300만 톤의 온실가스를 감축할 계획이다. 이는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 중 건물부문 목표량의 36%를 차지한다. 

국토부는 제로인증제를 실무적으로 운영하고 인증업무를 담당할 기관으로 한국에너지공단을 지정했다. 제로에너지건축 누리집을 통해 인증 신청, 제로에너지건축 관련 정보 제공 등의 민원 편의를 지원할 예정이다. 

국토부는 제로인증제 시행에 맞춰 제로에너지건축을 포함한 녹색 건축 전반에 대해 건축관계자와 일반 국민의 궁금증을 해소하기 위해 오는 24일부터 내달 7일까지 전국적인 정책설명회를 개최한다.  

국토부 관계자는 “제로에너지건축물은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의 달성뿐만 아니라 실질적인 에너지비용의 절감과 쾌적한 생활환경을 제공하는

미래형 첨단 건축으로서 국민의 삶의 질을 높이고 행복을 실현하는 데 크게 기여할 것”이라며 국민의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했다.
 

ktae9@kukinews.com

추천  소스보기  목록 
번호 첨부 제목 글쓴이 등록일 추천
미래산업문화연구소의 사업영역 확장... 2023-04-12 0
★청소년 진로직업 체험 프로그램 교육 안내★(모... 2021-06-22 0
 136 여름 효자 태양광이 봄가을에도 효자 되려면... 2025-07-24 0
 135 수소전지·태양열로 저탄소 온실재배…에너지 효율... 2025-07-24 0
 134 폭염에 전력수요 폭증…태양광 발전이 ‘블랙아웃... 2025-07-11 0
 133 건물벽부터 도로까지…틈새를 노리는 '기발한 태양... 2025-07-11 0
 132 지열로 1억원 아낀 공공기관…머스크도 극찬한 이 ... 2025-03-19 0
 131 온실가스 줄이고, 소득 높이고…지열 활용한 '히트... 2025-03-19 0
 130 지열 냉난방 시스템을 둘러싼 오해와 진실... 2025-03-13 0
 129 [수열에너지로 탄소중립 완성을] (3) 해외 사례-네... 2025-03-13 0
 128 사찰 수열 난방을 아시나요?...용인 법관사의 경제... 2025-02-17 0
 127 기후 변화에 에너지 사용 폭증…땅속 숨은 에너지 ... 2025-02-17 0
 126 수열에너지, 히트펌프 활용해…건물 냉·난방 및 ... 2025-02-12 0
 125 [新농비] "한여름에도 딸기 가능?"...지하수 활용 ... 2025-02-12 0
 124 [ESG칼럼] 신재생에너지 발전 설비 구축 의무화로 ... 2025-02-06 0
 123 자연 훼손, 농지 손실 없이 태양광 전기 만들죠... 2025-02-04 0
 122 [르포] 영농형 태양광 아래 영근 나주배 맛·크기... 2025-02-04 0
 121 "스마트팜 냉난방비 6천만 원 아껴요"...지하수 활... 2025-01-21 0
 120 지하수로 블랙아웃 막는다…국내 유일 제주 실증단... 2025-01-21 0
 119 지역별 특화작물 맞춤 ‘스마트팜 기술’ 개발 속... 2025-01-14 0
 118 죽어가는 ‘농업’ 살리는 길은 ‘AI 접목 스마트... 2025-01-14 0
 117 지하수를 활용한 상시 냉난방의 다양한 사업모델 ... 2024-05-13 0
1234567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