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소개
교 육
컨설팅
주요사업실적
공지 및 자료
갤러리
고객문의
제목  수소전지·태양열로 저탄소 온실재배…에너지 효율도 잡았다 2025-07-24 14:56:51
작성인
  미래산업문화연구소 전화번호 : 비공개   이메일 :    트위터로 보내기싸이월드 공감
조회 : 35   추천: 0
 

기계연, 농진청과 6개월간 온실 3중 열병합발전 시스템 실증
10kW급 두산 수소연료전지 쓰여…개당 '1억원' 고비용은 숙제


전북 전주시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에 소재한 661㎡ 면적 스마트 온실./뉴스1 ⓒ News1 윤주영 기자

전북 전주시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에 소재한 661㎡ 면적 스마트 온실./뉴스1 ⓒ News1 윤주영 기자

(전주=뉴스1) 윤주영 기자 = 국내 연구진이 세계 최초로 수소연료전지·태양열 발전 등 신재생에너지 기반 복합열원 시스템을 스마트 온실에서 실증했다. 기존 온실용 시스템 대비 이산화탄소 배출을 절반 이상, 운영비를 3분의 1 절감했다는 설명이다.
 

이달 15일 방문한 전주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내 661㎡ 규모 온실에선 한국기계연구원이 개발한 '온실 3중 열병합발전 시스템'을 만나볼 수 있었다.

시스템은 농진청 '수소연료전지 3중 열병합 시스템 농업모델 개발'(34억 2000만 원), 스마트팜사업단 '다중열원 온실에너지기술 상용화'(12억 1000만 원) 등 다부처 사업 결과물이다. 다양한 신재생 에너지원을 믹스해 친환경·고효율의 냉난방 시스템을 구현·실증하는 게 골자다.

이상민 기계연 미래농생명공학연구단장은 "국가온실가스 감축목표(NDC) 로드맵에 따르면 농업 분야는 2018년부터 2030년까지 탄소를 27.1% 감축해야 한다"며 "화석에너지 기반 농업을 신재생 에너지로 전환하면서도,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게 현안으로 제시됐다"고 설명했다.

3중 열병합발전 시스템은 연료전지·태양열·히트펌프·흡착식 냉동기 등을 연계해 전기를 생산하고, 이때 발생하는 열을 온실 냉난방에 활용한다. 핵심인 연료전지 시스템에는 두산모빌리티이노베이션이 개발한 10kW급 수소 고분자전해질막 연료전지(PEMFC) 3대가 쓰였다.

또 기계연이 개발한 특수 히트펌프 및 통합 제어 기술을 통해 시스템 간 열 교환을 최적화했다.

예를 들어 겨울철엔 수소연료전지·태양열 집열기를 통해 온수를 만들어 온실을 덥힌다. 여름철에는 흡착식 냉동기에 온수를 투입, 이를 열원 삼아 온실 냉방에 필요한 냉수를 공급한다.

이 단장은 "태양열·지열 등 단일 신재생 에너지원에 의존하던 기존 방식과 달리, 시스템은 열원 간 상호 보완이 가능하다"며 "냉난방 수요 변동성이 큰 국내 환경에 적합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본문 이미지 - 한기계연구원이 개발한 '온실 3중 열병합발전 시스템./뉴스1 ⓒ News1 윤주영 기자
한기계연구원이 개발한 '온실 3중 열병합발전 시스템./뉴스1 ⓒ News1 윤주영 기자

연구진은 올해 1월부터 시스템의 효율성을 실증했다. 그 결과 기존 온실용 히트펌프 시스템 대비 운영비를 36.5%,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58.1% 저감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해당 기간 스마트 온실에서 토마토도 성공적으로 재배했다.

다만 아직은 높은 구축 비용과 수소 공급이 상용화의 발목을 잡는다. 기계연에 따르면 두산의 연료전지는 개당 약 1억 원 생산 비용이 든다. 또 사업 취지를 생각하면 탄소 배출이 적은 그린수소*를 써야 하지만, 아직 저비용 대량 생산이 어렵다.

이 단장은 "당장의 상용화보단, 신재생에너지 기반 자립적인 에너지 시스템이라는 장기적 목표를 갖고 사업을 추진했다"며 "농가에서 신재생 에너지 시스템을 도입할 때 비용을 지원해 주는 등의 정책 보조도 있어야 향후 확산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출처: 뉴스1 '수소전지·태양열로 저탄소 온실재배…에너지 효율도 잡았다'
(https://www.news1.kr/it-science/general-it/5847119)

추천  소스보기  목록 
번호 첨부 제목 글쓴이 등록일 추천
미래산업문화연구소의 사업영역 확장... 2023-04-12 0
★청소년 진로직업 체험 프로그램 교육 안내★(모... 2021-06-22 0
 136 여름 효자 태양광이 봄가을에도 효자 되려면... 2025-07-24 0
 135 수소전지·태양열로 저탄소 온실재배…에너지 효율... 2025-07-24 0
 134 폭염에 전력수요 폭증…태양광 발전이 ‘블랙아웃... 2025-07-11 0
 133 건물벽부터 도로까지…틈새를 노리는 '기발한 태양... 2025-07-11 0
 132 지열로 1억원 아낀 공공기관…머스크도 극찬한 이 ... 2025-03-19 0
 131 온실가스 줄이고, 소득 높이고…지열 활용한 '히트... 2025-03-19 0
 130 지열 냉난방 시스템을 둘러싼 오해와 진실... 2025-03-13 0
 129 [수열에너지로 탄소중립 완성을] (3) 해외 사례-네... 2025-03-13 0
 128 사찰 수열 난방을 아시나요?...용인 법관사의 경제... 2025-02-17 0
 127 기후 변화에 에너지 사용 폭증…땅속 숨은 에너지 ... 2025-02-17 0
 126 수열에너지, 히트펌프 활용해…건물 냉·난방 및 ... 2025-02-12 0
 125 [新농비] "한여름에도 딸기 가능?"...지하수 활용 ... 2025-02-12 0
 124 [ESG칼럼] 신재생에너지 발전 설비 구축 의무화로 ... 2025-02-06 0
 123 자연 훼손, 농지 손실 없이 태양광 전기 만들죠... 2025-02-04 0
 122 [르포] 영농형 태양광 아래 영근 나주배 맛·크기... 2025-02-04 0
 121 "스마트팜 냉난방비 6천만 원 아껴요"...지하수 활... 2025-01-21 0
 120 지하수로 블랙아웃 막는다…국내 유일 제주 실증단... 2025-01-21 0
 119 지역별 특화작물 맞춤 ‘스마트팜 기술’ 개발 속... 2025-01-14 0
 118 죽어가는 ‘농업’ 살리는 길은 ‘AI 접목 스마트... 2025-01-14 0
 117 지하수를 활용한 상시 냉난방의 다양한 사업모델 ... 2024-05-13 0
1234567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