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소개
교 육
컨설팅
주요사업실적
공지 및 자료
갤러리
고객문의
제목  [(주)퍼포먼스웨이컨설팅 대표 오우식 칼럼] 6차산업의 리모델링과 활성화 방안 2019-07-11 18:22:21
작성인
  미래산업문화연구소 전화번호 : 비공개   이메일 :    트위터로 보내기싸이월드 공감
조회 : 1491   추천: 0

[칼럼] 6차산업의 리모델링과 활성화 방안

(주)퍼포먼스웨이컨설팅 대표 오우식 논설위원(경영학 박사, 정부혁신 컨설팅 전문위원)




6차산업이란 용어가 국내에 들어온 지 오래되지 않았지만 농촌에 빠른 속도로 전파되었다. 아마도 1차산업의 한계로 고민하던 농촌현장에서 고소득이라는 희망을 갖게한 매력적인 개념으로 인식되었기 때문이리라.

6차산업이란 1차, 2차, 3차산업을 동시에 경영한다는 의미로 1+2+3=6 혹은 1*2*3=6에서 유래된 말이다. 다시 말하면, 1차산업에다 2차인 제조·가공, 3차인 판매, 체험 관광 등 통합 서비스를 통해 고부가가치화를 꾀하자는 것이다.

농촌은 다양한 자원에도 불구하고 그 활용도가 저조하여 소득면에서 도시에 비해 매우 열악한 편이다.

농촌의 주 작목인 쌀만 보더라도 다른 공산품 가격이 상승한 것에 비해 쌀값은 10년 전이나 지금 별로 차이가 없다. 지금도 국민 한사람이 하루에 먹는 쌀은 평균 320원 꼴로 한달에 9600원 정도이다. 시중에서 파는 커피 2잔 값 정도라는 통계를 보더라도 농촌과 농업의 어려움을 쉽게 알 수 있다.

이런 현상의 지속은 농촌의 지속가능한 일자리를 만들어내지 못한 결과로 이어졌고 그에 따른 이농 현상은 급기야 지방의 인구감소와 고령화를 촉진시켰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도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으며 6차산업 정책도 그중 하나였다. 그러나 기대한 만큼 효과를 거두지는 못하고 있다.

여기에는 여러 가지 원인이 있다. 우선, 아직도 6차산업의 주체들은 시장지향적이지 못하고 공급자 중심이다. 만들면 팔릴 것이란 막연한 공급주도의 사고가 강하며 대부분 정부의 보조나 지원에 의존하는 바가 크다. 다음으로, 6차 산업의 근간이라 할 수 있는 2차인 제조·가공분야의 역량이 충분하지 못하다.

6차 산업의 핵심은 견실한 2차를 기반으로 3차와 연결되어야 하나 현실은 전혀 그렇지 못하다. 생산관리, 설비관리를 포함하여 많은 부분에서 문제가 노출된다.

예를 들면, 설비를 보더라도 정부의 보조가 있을 때 그때 그때 설비를 구입하므로써 공정간 상호 연계가 불가능하다. 이는 일괄생산체제에 의한 대량생산을 어렵게 하고 그 결과는 제품의 비용증가로 그리고 가격경쟁력 저하로 직결된다.

전체적으로는 경영인프라가 약하고 문제해결을 위한 개선활동이 부족하다.

농촌은 인력, 자본 등 인프라가 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열악하다. 그러다 보니 경영수준이 낙후되는 것은 당연하다.

심지어 생산한 제품의 원가도 분석이 안되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설상가상으로 6차산업 고도화를 위한 지속적인 문제해결과 체계적인 개선활동이 이뤄지지 않는다. 그렇다면 어떻게 6차산업을 활성화할 수 있을까?

첫째, 초기단계에서 전략적 방향을 명확하게 하고 출발해야 한다. 철저한 환경분석을 기초로 중단기 전략을 수립하고 이에 기반하여 실행계획을 구체적으로 수립하도록 하되 모든 하부의 경영시스템을 실행계획 중심으로 전개하고 관리해야 한다.

둘째, 통합적 가치창출과 밸류체인에 입각하여 시너지화를 추구 한다. 생산과 기술, 품질관리 및 판매 등 단계별 핵심 기능을 가치의 연결과 확대라는 관점에서 최적화해야 한다. 즉, 특정 아이템별 총 수요에 맞춰 판매전략과 이를 기반으로 하부의 다수 기능들을 연계해야 한다.

셋째, 부족한 인프라를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6차 산업에 필요한 인프라 확보가 중요하다. 6차산업에 필요한 인력의 수급 역시 풀어야 할 핵심적인 난제다. 부족한 인력은 도시의 경력 은퇴자를 분야별로 패키지화하여 활용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필요한 경우 도농 연계 융합 리빙 랩도 고려해야 할 것이다.

넷째. 지속적인 문제해결과 개선활동으로 그 수준을 고도화하라.

모든 조직의 경쟁력 확보는 상존하는 문제들을 얼마나 시스템적으로 해결하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제조·가공분야는 기업에서 수행하는 개선과 혁신방법을 과감하게 벤치마킹할 필요가 있다.

기본적인 생산성 향상방법 외에 원가혁신과 품질개선 등 2차의 경쟁력향상을 위한 노력을 한층 강화해야 한다. 고 부가가치형의 6차산업으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 출처 : http://www.kns.tv/news/articleView.html?idxno=606626
 
추천  소스보기  목록 
번호 첨부 제목 글쓴이 등록일 추천
미래산업문화연구소의 사업영역 확장... 2023-04-12 0
★청소년 진로직업 체험 프로그램 교육 안내★(모... 2021-06-22 0
 136 여름 효자 태양광이 봄가을에도 효자 되려면... 2025-07-24 0
 135 수소전지·태양열로 저탄소 온실재배…에너지 효율... 2025-07-24 0
 134 폭염에 전력수요 폭증…태양광 발전이 ‘블랙아웃... 2025-07-11 0
 133 건물벽부터 도로까지…틈새를 노리는 '기발한 태양... 2025-07-11 0
 132 지열로 1억원 아낀 공공기관…머스크도 극찬한 이 ... 2025-03-19 0
 131 온실가스 줄이고, 소득 높이고…지열 활용한 '히트... 2025-03-19 0
 130 지열 냉난방 시스템을 둘러싼 오해와 진실... 2025-03-13 0
 129 [수열에너지로 탄소중립 완성을] (3) 해외 사례-네... 2025-03-13 0
 128 사찰 수열 난방을 아시나요?...용인 법관사의 경제... 2025-02-17 0
 127 기후 변화에 에너지 사용 폭증…땅속 숨은 에너지 ... 2025-02-17 0
 126 수열에너지, 히트펌프 활용해…건물 냉·난방 및 ... 2025-02-12 0
 125 [新농비] "한여름에도 딸기 가능?"...지하수 활용 ... 2025-02-12 0
 124 [ESG칼럼] 신재생에너지 발전 설비 구축 의무화로 ... 2025-02-06 0
 123 자연 훼손, 농지 손실 없이 태양광 전기 만들죠... 2025-02-04 0
 122 [르포] 영농형 태양광 아래 영근 나주배 맛·크기... 2025-02-04 0
 121 "스마트팜 냉난방비 6천만 원 아껴요"...지하수 활... 2025-01-21 0
 120 지하수로 블랙아웃 막는다…국내 유일 제주 실증단... 2025-01-21 0
 119 지역별 특화작물 맞춤 ‘스마트팜 기술’ 개발 속... 2025-01-14 0
 118 죽어가는 ‘농업’ 살리는 길은 ‘AI 접목 스마트... 2025-01-14 0
 117 지하수를 활용한 상시 냉난방의 다양한 사업모델 ... 2024-05-13 0
1234567
로그인